1993.1.26



SUBJECT: labtom X-terminal 의 serial port test

MEANING OF THIS MEMO:
현대상선의 labtom X-terminal의 serial port를 이용하여 PostScript file printing.

CONTENTS:
0. Setting 방법.
1. 왠 문제점 ?

DESCRIPTION:
0. Setting 방법 

   . X-TERMINAL의 default setting상태는 다음과 같다
       port0  :  mouse
       port1  :  TCP port number 35
       port2  :  unused
       port3  :  unused

   . TCP port number는 /etc/services file에서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number를
       이용 serial interface의 protocol을 맞춤
 
   . port2와 port3를 사용할 경우 X-TERMINAL의 setting mode에서
        unused로 setting되어 있는 port2와 port3를 TCP를 사용할수 있도록 setting
         (예, port2 TCP 36 , 여기서 36은 TCP port number )

   . X-terminal상에서
    
        Interface menu에서 port1  :  baud rate 960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ata bits    8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op bits    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arity    none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low control  Xoff  no CTS  no XANY  no DSK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urpose : remote serial port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CP port number 3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ction on close  none

   . Installing및 사용방법

     i)Sun SE 의 printer-labtom(/SUNSE/SHARE) 이라는 S/W package 가 있어야함.
       적당한 파티션에 깔고서 컴파일( make )
       
       컴파일 후 생긴 실행화일 들을 /usr/local/bin 으로 copy 하세용..
      
   xeprint : xengine serial port에 data를 보내는 file.
   xeprintd :xengine상의 serial port를 이용하여 printing을 하게하는 print daemon
   xettyd : xengine serial port에 연결된 pseudo tty device를 만듬

     cp xettyd /usr/local/bin
     cp xeprintd /usr/local/bin
     cp xeprint /usr/local/bin


     ii)/etc/ttytab file에 pseudo device 등록 (terminal 사용시 해당)
       xepr1  "/usr/etc/getty std.9600"   unknown    on  local   secure
       (printer 이용시는 status 를 off 로 하시고 kill -1 1 하세요 !!!)
       
 
     iii)Pseudo device의 생성
         #xettyd /dev/xepr1 lapc 35
           
         (  /dev/xepr1  : port1의 pseudo device name
           lapc        : X-terminal의 host name
           35          : port1이 사용하는 TCP port number )

     iv)  Print 사용방법
          . /etc/printcap file에 print 등록
   
             # vi /etc/printcap
                xepr1|lab top X-terminal port:\
                lp=/dev/xepr1:\
                sd=/usr/spool/xepr1:\
    
          . lpr -h -Pxepr1 file_name
    

     v) pin assign

        9 pin                    25pin

          2    ----------   2
          3    ----------   3
          5    ----------   7

1.웬 문제점.

       i) port 확인 필요.
          
         - port 3 개중에서 1 번째  포트가 불량이어서 한참헤맴.
           port 2 번째것 사용후 테스트는 가능
       
       ii) Hyper 의 KS mode 로써 텍스트 는 출력가능.
            *cat /tmp/test > /dev/xepr2
            *lpr -h -Pxepr2 /tmp/test 둘다 OK !!

       iii)Hyper 의 HS/2 mode(Postscript) 때는 문제점 발생.

          - Postscript data 가 특별히 작을때는
            *cat /tmp/test.ps > /dev/xepr2
            *lpr -h -Pxepr2 /tmp/test.ps  둘다 OK !!
  
          -  Postscript data 가 적당히 클때는 
            *cat /tmp/test.ps > /dev/xepr2
            *lpr -h -Pxepr2 /tmp/test.ps
            둘다  다 못그리고 hang-up.
       iv)Dot printer 도 buffer size 문제가 발생.  

  1 차 test 결과.

        *****즉, labtom 의 port 가 사용하고있는 입출력 버퍼의 크기가
           문제가 되어서 버퍼크기보다 작은 데이타는 처리하고
          버퍼크기보다도 큰 데이타는 overflow 로써 처리하지못하는것 같다.

  2 차 test 결과.

       ****** data 를 내보내는 동안 관련 daemon(xettyd) 이 죽어버려
       printer 에 보내진 data 만 printing 된다.
       따라서, 관련 source level 의 수정이 필요하다.

   3 차 test 해볼것들
   
      xettyd /dev/xepr1 lapc 35 666 &
      xeprintd 35 &

      xdpr or lp 로 test 할것.

Revision History
Created on Jan  26 ,1993